산행/충청도

산행/충청도
2022. 4. 10.
중심봉 (두타산)
2022년 4월 9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중심봉.

산행/충청도
2022. 4. 3.
은봉산
2022년 4월 2일 토요일, 충남 당진시 봉성리 안국골 은봉산. 은봉산(銀峰山)은 원래 응봉산(鷹峰山)이다. '응봉산(鷹峰山)'은 보통 매봉산(-峰山)이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응(鷹)’ 자가 ‘매’를 나타내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매봉산'은 ‘산이 매처럼 생겼다.’, ‘산에서 매사냥을 했다.’, ‘매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등 여러 가지 이유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그러나 이런 이야기와는 달리, 옛날에는 ‘산’을 ‘메[뫼]’라고 불렀는데, 이 ‘메[뫼]’가 ‘매’로 변해서 ‘매산’, ‘매봉’, ‘매봉산’이 되었으며, 한자로 옮기면서 ‘응산(鷹山)’, ‘응봉(鷹峰)’, ‘응봉산(鷹峰山)’이 된 것이다. 은봉산은 안국산(安國山)이라고도 부르며, 북쪽으로 봉화산, 서쪽으로 간대산으로 연결된다. 산의 동..

산행/충청도
2022. 3. 13.
칠보산(청안)
2022년 3월 12일 토요일, 충북 괴산군 청안면 칠보산. 칠보산은 괴산군의 서남쪽 청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괴산군청 소재지에서 남서부로 21㎞ 지점이며 동은 청천면, 서는 증평군, 남은 청천면과 청주시 상당구, 북은 도안면과 사리면에 접하고 있으며 한남금북정맥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남금북정맥이란 백두대간의 속리산(俗離山) 청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七長山, 492m)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산행/충청도
2022. 2. 13.
보광산
2022년 2월 12일 토요일,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보광산. 보광산은 산세가 빼어나거나 경치가 좋고 바위가 있다든가 하는 그런 산은 아니다. 그저 나즈막한 육산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상의 봉학사지에 얽힌 전설 같은 현실에 인간 욕심의 무상함을 일깨워 주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접근이 용이하고 험하지 않아 가족단위로 등산할 수 있는 좋은 산이다. 산행은 모래재 고개에서 300미터 괴산 쪽으로 위치한 수암리 시동마을에서부터 시작한다. 시동마을에서 보광사까지는 차도가 닦여 있다. 시동마을 앞 승강장 옆에 있는 보광사 안내판을 따라 시동마을 출발한지 1시간 정도면 보광사에 도착한다. ▼ 봉학사지 5층석탑. ▼ 보광사 보광사는 고려 28대 충혜왕(忠惠王) 1년에 창건되고 조선 헌종(憲宗)때 폐사된 옛 봉학사(..

산행/충청도
2022. 2. 6.
삼보산
2022년 2월 5일 토요일, 충북 증평군 증평읍 죽리 삼보산. 증평 삼보산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죽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273m이다. 구녀산과 좌구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형태를 띄고 있다. 산의 지명은 세 가지의 보물이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첫 번째 보물은 물로써 초정리 광천수와 증평 탄산약수를 뜻하며 두번째 보물은 이 산에 매장되어 있는 금이라고 한다. 마지막 보물은 산골이라는 광물질인데 골절에 유용한 약재라고 한다.

산행/충청도
2021. 12. 22.
흑성산
2021년 12월 21일 화요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흑성산. 흑성산(해발 519m)은 동쪽으로 산방천을 넘어서 은율산이 솟아있고 북쪽으로는 천안시의 진산인 태조봉을 거쳐 성거산이 바라다 보이며 서쪽에는 마점산 너머로 천안시가 내려다보인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승천천을 건너서 취암산과 고려산으로 연결된다. 흑성산 정상에는 석축둘레 2,290척, 높이 6척의 성터가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만 남아있고 성내에는 지지가 있다. 흑성산의 본래이름은 검은산인데 이 산을 중심으로 김시민, 이동령, 이범석, 유관순, 조병옥 등 많은 구국열사가 배출되었으며 일제때 '검다'는 뜻을 그대로 옮겨서 '흑성산'으로 바꾼것이다. 풍수지리상 이곳은 서울의 외청룡에 해당되고 금계포란형 즉 금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의 명당 길..

산행/충청도
2021. 12. 5.
태조산
2021년 12월 4일 토요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의 경계에 있는 태조산. 고려 태조가 이 산의 서쪽에 주둔함으로써 칭명케 되었다고 전해오는 태조산은 유량천, 산방천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고 정상에 오르면 천안의 발전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산으로 최근 건강을 위한 그룹단위의 산행인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고 특히 산이 완만하여 여성 산행인들이 즐겨 찾는 곳입니다.

산행/충청도
2021. 11. 21.
옥녀봉 아가봉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충북 괴산군 칠성면 옥녀봉, 아가봉. 칠성면 소재지에서 보면 옥녀봉은 군자산과 비학산 너머에 있다. 높이로 봐도 그리 관심을 끌만한 것이 없어 보이고, 접근방법으로 보면 더구나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처럼 보인다. 칠성에서 갈론까지 약 5km나 되는 비포장도로를 가야하고, 청천의 사기막에서 오를 경우도 4-5km는 비포장을 가야하는 오지의 산이며, 그런 이유로 사람들이 뜸한 전인미답의 산으로 치부된다. 정말 산을 즐기는 사람들은 남들이 거부하는 그런 이유 때문에 오히려 즐거이 이 산을 찾는다. 산행은 칠성면 소재지에서 국내 최초의 우리 기술로 건설된 괴산 수력발전소가 있는 외사마을을 지나 댐 왼편으로 나있는 비포장 길을 승용차로도 20분정도 가야 한다. 갈론마을로 들..

산행/충청도
2021. 11. 14.
위례산
2021년 11월 13일 토요일, 위례산(慰禮山)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523m의 높이의 산이다. 천안과 안성의 경계지점인 직산에 위치하며 직산 위례성·검은산·신산(神山)이라고 부른다. 백두대간에서 나뉜 금북정맥(錦北正脈)의 성거산에서 서쪽으로 달려가는 산줄기가 노태산이고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는 산줄기가 경기도 안성의 서운산(538m)이다. 남쪽으로 계속 내려가면 태조산(421m)으로 이어진다. 부소산은 천안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한 해발 459m의 산으로 주변의 연속적인 산지와 이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엽돈재가 있으며, 북동 방향으로 서운산[547m]과 능선이 연결되고, 남서쪽으로 부수문이 고개를 지나 위례산[523m], 성거산[579m], 태조산[420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부소..

산행/충청도
2021. 10. 24.
영인산
2021년 10월 23일 토요일,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영인산. 영인산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산이다. 영인산은 예로 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고 정상에 백제 시대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산 정상에 서면 서해바다, 삽교천, 아산만방조제와 아산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나무수국 '그란디플로라' ▼ 산부추 (Thunberg Onion)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 쑥부쟁이 ▼ 등골나물 (Fragrant eupatorium) ▼?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 ? ▼ 구절초 (White-lobe Korean dendranthema)

산행/충청도
2021. 10. 17.
오서산
2021년 10월 16일 토요일, 충남 보령시 청소면과 청라면, 청양군 화성면, 홍성군 광천읍과 장곡면 경계에 있는 오서산. 오서산(烏棲山-790m)은 충남 서해안에 인접한 산 중 제일 높은 산이다. 그래서인지 예부터 이 산을 두고 뱃사람들은 항로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위치 정보로 활용하여왔다. 내포지역 지형의 특성상 주변은 낮은 언덕과 평지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해발고도 800m가 채 되지 않는 산임에도 바다에서 뚜렷하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해를 오가는 뱃사람들의 등대 역할을 하고 있는 이 산은 억새풀로 유명하다. 정상 능선부에 펼쳐진 약 1.3km 구간의 억새밭은 가을로 접어들면서 그 자체로 장관을 이루어 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 산이기도 하다. 그리고 평원을 이루지 ..

산행/충청도
2021. 10. 10.
주론산
2021년 10월 9일 토요일, 충북 제천시 백운면과 봉양읍의 경계에 위치한 주론산. 주론산은 제천시 백운면과 봉양읍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치악산 남단에 자리한 남대봉에서 서남쪽 백운산으로 이어져 내리던 능선이 백운산 정상을 2㎞ 남겨 둔 981봉에 이르면 남쪽으로 새 가지를 쳐 구학산을 솟구친 후 남쪽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능선을 4㎞ 더 내려와 주론산을 빚어 놓았다. 주론산의 들목인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한국 천주교회사의 유서깊은 배론성지가 있다. 산행기점은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배론성지와 백운면 평동리의 박달재자연휴양림이다.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