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충청도

산행/충청도
2025. 7. 2.
만뢰산
2025년 7월 2일 수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 만뢰산(萬賴山)[611.7m]은 만노산(萬弩山)·금노산(今奴山)·금노산(今弩山)·금물노산(今勿奴山)으로도 불리는데, 고구려시대의 지명을 따서 그대로 붙인 이름이라고 전해 온다. 본래 고구려 땅이었던 진천 지역이 신라 땅이 된 뒤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김서현(金舒玄)이 만노태수로 부임하였는데 북으로 고구려, 서쪽으로 백제군과 대치하면서도 군민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군민들이 평화롭게 지냈다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덕성산(德城山)[519m]의 한 지맥이 서운산(瑞雲山)[547m]을 이루고, 다시 엽둔재[葉屯峙][344m]를 넘어 남방으로 뻗치어서 이..

산행/충청도
2025. 6. 24.
고용산
2025년 6월 24일 화요일,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신봉리.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와 신봉리의 경계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충청남도 아산시의 고용산은 초목은 없고 큰 돌만 많이 쌓여 있는 산봉우리가 들 가운데 솟아 있다고 하여 ‘고용산’이라 불리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용산(高勇山)은 현 북쪽 12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1872년 지방지도(1872年地方地圖)』「아산」에 이북면 동쪽에 ‘고용산’이 표기되어 있으며,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영인면 신봉리와 금성리 사이에 ‘고용산(高聳山)’처럼 한자를 달리하여 기록되어 있다. 고용산의 ‘용’의 한자 표기는 문헌에 따라 勇, 聳 혹은 龍으로 달리 표기하고 있다. 돌성이 있어서 쇠성 또는 금성이란 다른 이..

산행/충청도
2025. 6. 19.
진천 두타산
2025년 6월 18일 수요일,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충북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 위치한 두타산(頭陀山)은 진천군 초평면·증평군 도안면·증평읍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마치 부처가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해발 598m의 산이다.이 산은 진천의 주산(主山)이고 증평의 진산(鎭山)이며, 진천의 ‘상산8경’ 중의 하나인 고찰 영수사(靈水寺)를 산자락에 품고 있는 은은한 종소리와 함께 아름다움을 간직한 명산이다.두타산을 오를 때는 진천방향에서는 동잠교, 동잠교2, 붕어마을, 원융사, 원남저수지 등을 들머리로 삼을 수 있고, 증평방향에서는 공병대를 들머리로 삼는다.이번 산행은 동잠교를 들머리 삼아 ‘두타산 주차장~쉼터정자(두타정)~전망대~두타산 정상~영수사 갈림길~영수사~큰길~두타산 주차장’ 코스로 다..

산행/충청도
2025. 6. 12.
신정호
2025년 6월 11일 수요일,충청남도 아산시 신정로 506.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인공호수로, 온양 시내 서남쪽에 위치해있다. 신정호는 일제강점기인 1926년에 만들어진 인공호수로, 원래 명칭은 마산저수지이다. 호수가 생기기 전, 이 자리에 '마산'이라는 이름의 마을이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아산시의 대표 관광지로, 시민들의 산책/데이트 코스이다. 호수 둘레를 따라 산책로와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1971년에 국민관광지로, 1984년에 국민관광단지로 조성되었다. 현재 2024년에 충남 제1호 지방정원, 2030년까지 제3호 국가정원 등록을 목표로 정원을 추가 조성하고 있다.신정호 동쪽에는 카페와 음식점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으며, 북쪽에도 도시개발사업으로 상가..

산행/충청도
2025. 4. 28.
백석봉
2025년 4월 21일 월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한입버섯, 학명: Cryptoporus volvatus (Peck) Shear, 과명: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식독여부: 약용

산행/충청도
2025. 4. 5.
영인산
2025년 4월 2일 수요일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영인산(靈仁山)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산이다. 영인산은 예로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고 정상에 백제 시대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산 정상에 서면 서해바다, 삽교천, 아산만방조제와 아산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또한 영인산 자연휴양림이 있다.

산행/충청도
2025. 3. 9.
백화산
2025년 3월 8일 토요일,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읍에 위치한 백화산(해발 284m)은 태안고을의 진산이며, 전국적으로 널리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산이다. 백화산(白華山)은 산의 남쪽에서 바라보면 하얀 바위들이 마치 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백화산 고스락을 오르는 길은 백화산산수길 다섯 개의 코스가 있으며, 산이 높지 않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다. 기암괴석이 즐비한 부드러운 암릉은 산객들의 발걸음을 신선처럼 가볍게 한다. 오늘 산행은 기암괴석과 소나무의 어울림이 빼어난 1코스(태안청소년수련관~백화산 고스락)로 올라서 철학과 역사가 살아 숨쉬는 4코스(백화산 고스락~태안초교)로 내려오는 코스로 정한다.태안군청소년수련관 주차장 앞에서 2차선 도로의 횡단보도를..

산행/충청도
2025. 2. 23.
광덕산
2025년 2월 22일 토요일,충청남도 안산시 배방읍 송악면,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송악면 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걸쳐 있는 산이며 높이 699m로 아산, 천안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산 주변에는 외암민속마을, 강당골, 현충사와 온양 민속박물관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산에는 광덕사, 장군바위, 잣나무 군락지, 강당사 등이 있다. 등산 코스는 크게, 외암민속마을에서 출발하는 코스, 강당골에서 출발하는 코스, 천안 광덕사에서 출발하는 코스 등이 있다외암민속마을 코스는 9km 가까이 되는 긴 코스. 강당골 코스는 3킬로가 조금 넘는다. 한편 외암마을 코스는 같은 광덕면에 있는 망경산과 이어져 있다. 광덕산 정상에서 망경산 정상까지는 약 13km.천안의 경우 광덕사에서 출발해 ..

산행/충청도
2025. 2. 9.
민주지산
2025년 2월 8일 토요일,충청북도 영동군 물한리.민주지산(岷周之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경상북도 김천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1,242m의 산이다. 충청·전라·경상, 삼도를 가르는 삼도봉을 거느린 명산으로 옛 삼국 시대는 신라와 백제가 접경을 이루었던 산이기도 하다. 이 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충북 영동군의 절경 물한리 계곡과 경북 김천시 황악산 기슭의 직지사가 유명하고, 동남쪽으로는 마애삼두불의 미소를 머금은 해발 1,200m의 석기봉과 태종 14년(1414년) 전국을 8도로 나눌 때 삼도의 분기점이 된 해발 1,181m의 삼도봉이 웅거하여 삼남을 굽어보며, 《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는 백운산(白雲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에 민주지산으로 바뀌었다.

산행/충청도
2025. 1. 23.
설화산
2025년 1월 22일 수요일,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충청남도 아산시의 송악면 외암리와 배방읍 중리, 좌부동의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아산시 설화산의 옛 이름으로 ‘서달산’, ‘설아산’ 등이 있었다. 『1872년 지방지도(1872年地方地圖)』「온양」에 "군내면 서쪽에 설화산과 그 북쪽으로 남산사(南山寺)[현 오봉사]가 나타나 있다."고 나와 있으며,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 "송악면과 배방면 경계에 설화산이 배방산과 마주하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설화산의 모양이 붓끝처럼 생겼으므로 ‘문필봉(文筆峰)’이라고도 불렸으며, 산 아래에서 많은 문필가가 배출되었다고 한다. 또 이곳에 칠승팔장(七丞八將)[일곱 정승, 여덟 장수]이 나올 명당이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몰래 묘를 쓰는 사람이 많았다..

산행/충청도
2025. 1. 1.
고용산일출
2025년 1월 1일 수요일,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신봉리.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관련항목 보기와 신봉리의 경계에 있는 산. 충청남도 아산시의 고용산은 초목은 없고 큰 돌만 많이 쌓여 있는 산봉우리가 들 가운데 솟아 있다고 하여 ‘고용산’이라 불리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용산(高勇山)은 현 북쪽 12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1872년 지방지도(1872年地方地圖)』「아산」에 이북면 동쪽에 ‘고용산’이 표기되어 있으며, 『조선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영인면 신봉리와 금성리 사이에 ‘고용산(高聳山)’처럼 한자를 달리하여 기록되어 있다. 고용산의 ‘용’의 한자 표기는 문헌에 따라 勇, 聳 혹은 龍으로 달리 표기하고 있다. 돌성이 있어서 쇠성 또는 금성이란 다른 이름..

산행/충청도
2024. 12. 15.
가은산
2024년 12월14일 토요일,충청북도 제천시.가은산(加隱山)은 간신히 몸만 피난한다는 뜻으로, 달리 가음산(加陰山)이라고도 표기한다. 한편 가는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내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마고할미가 나물을 뜯으러 왔다가 반지를 잃어버려서 온 능선과 골짜기를 샅샅이 찾아다니다가 아흔아홉 번째 골짜기에서 반지를 찾게 되었다. 반지를 찾은 마고할미는 “이 산에 골짜기가 하나만 더 있었더라면 한양이 들어설 골짜기인데, 내가 이곳에 눌러 앉아 살려고 해도 한양이 될 땅이 못 되니 떠나가겠다.”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한다. 이로 인해 ‘가는산’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는 것이다. 가은산은 금수산[1,015.8m] 지맥이 남쪽으로 뻗으면서 형성한 동서로 긴 타원형의 분지 지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