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산행/충청도
2025. 7. 2.
만뢰산
2025년 7월 2일 수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 만뢰산(萬賴山)[611.7m]은 만노산(萬弩山)·금노산(今奴山)·금노산(今弩山)·금물노산(今勿奴山)으로도 불리는데, 고구려시대의 지명을 따서 그대로 붙인 이름이라고 전해 온다. 본래 고구려 땅이었던 진천 지역이 신라 땅이 된 뒤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김서현(金舒玄)이 만노태수로 부임하였는데 북으로 고구려, 서쪽으로 백제군과 대치하면서도 군민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군민들이 평화롭게 지냈다 하여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덕성산(德城山)[519m]의 한 지맥이 서운산(瑞雲山)[547m]을 이루고, 다시 엽둔재[葉屯峙][344m]를 넘어 남방으로 뻗치어서 이..

산행/충청도
2025. 6. 19.
진천 두타산
2025년 6월 18일 수요일,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충북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에 위치한 두타산(頭陀山)은 진천군 초평면·증평군 도안면·증평읍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마치 부처가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해발 598m의 산이다.이 산은 진천의 주산(主山)이고 증평의 진산(鎭山)이며, 진천의 ‘상산8경’ 중의 하나인 고찰 영수사(靈水寺)를 산자락에 품고 있는 은은한 종소리와 함께 아름다움을 간직한 명산이다.두타산을 오를 때는 진천방향에서는 동잠교, 동잠교2, 붕어마을, 원융사, 원남저수지 등을 들머리로 삼을 수 있고, 증평방향에서는 공병대를 들머리로 삼는다.이번 산행은 동잠교를 들머리 삼아 ‘두타산 주차장~쉼터정자(두타정)~전망대~두타산 정상~영수사 갈림길~영수사~큰길~두타산 주차장’ 코스로 다..

산행/충청도
2025. 4. 28.
백석봉
2025년 4월 21일 월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한입버섯, 학명: Cryptoporus volvatus (Peck) Shear, 과명: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식독여부: 약용

산행/충청도
2024. 5. 25.
농다리 (미르숲길)
2024년 5월 25일 토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산동리.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 위치한 옛 돌다리이다. 천년이 넘은 다리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이다. 생김새가 특이하다. 오늘날에도 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농다리를 통해 미호강을 건널 수 있다.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과거에는 농교(籠橋)라고 불렀으나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 개양귀비▼ 으아리.▼ 고들빼기 (Sonchus-Leaf crepidiastrum).▼ 하늘다리.▼ 미르309 출렁다리.▼ 농다리

산행/충청도
2022. 9. 4.
만뢰산-보탑사
2022년 9월 3일 토요일,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진천읍 상계리 연곡리는 삼국시대 신라와 고구려의 국경지대로 상계리 계양마을의 담안밭에 흥무대왕 김유신의 탄생지가 있으며 만뢰산에는 태령산성 , 만뢰산성이 있고 고려시대 큰 절터로만 전해오던 연곡리 비립동에 고려초..

산행/경기도
2022. 6. 26.
서운산
2022년 6월 25일 토요일, 경기도 안성시 와 충북 진천군 서운산. 서운산은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경계에 있는 산이다. 칠장산 에서 한남정맥과 갈라져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금북정맥 마루금이 칠현산, 덕성산과 배티고개를 지나 바로 이 서운산을 거쳐서 충청남도 성거산으로 맥맥히 이어지고 있으니 평야지대인 안성 일대에서는 대표적인 산이다.

산행/충청도
2022. 4. 10.
중심봉 (두타산)
2022년 4월 9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중심봉.

야생화 & 버섯/Flower photography
2021. 8. 10.
붉은인동 (Honey suckle)
2021년 8월 7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 만뢰산.

야생화 & 버섯/Flower photography
2021. 8. 8.
짚신나물 (Hairy agrimony)
2021년 8월 7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 만뢰산.

산행/충청도
2021. 8. 8.
만뢰산
2021년 8월 7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 만뢰산.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 참나리 (Tiger lily) ▼ 달맞이꽃 (Evening Primrose, German Rampion) ▼ 백운산원추리 ▼ 만뢰산 정상 ▼ 백운산 원추리 ▼ 등골나물 (Fragrant eupatorium) ▼ ..

산행/충청도
2021. 3. 7.
진천 두타산
2021년 3월 6일 토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두타산.두타산(頭陀山)은 충청북도 진천군 에 위치한 산이다. 높이는 598m이다. '두타(頭陀)'는 '번뇌의 티끌을 떨어 없애 의식주에 탐착하지 않으며 청정하게 불도를 닦는 일'을 뜻하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한다.이곳 충북 두타산의 지명은 『산해경(山海經)』해외동경(海外東經)편에서 유래한다고 전한다. 그 내용은 단군이 나라를 다스릴 때 오랫동안의 장마로 땅이 물바다로 변하니 백성들이 가장 높은 산으로 모여들어 수난을 피했는데, 이 때 산의 봉우리(頭)가 섬(陀)처럼 보여서 붙여졌다고 한다. 무지봉의 인근에 두타산성이 있는데 신라 장군 실죽(實竹)이 성을 쌓고 백제군을 막았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 올괴불나무. ▼ 생강나무. ▼ 생강나무. ..

산행/충청도
2020. 8. 16.
만뢰산
2020년 8월 16일, 진천 만뢰산에서.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 Amanita Virgineoides. Amanita daucipes는 버섯 주문 Agaricales의 Amanitaceae과에있는 곰팡이 종입니다. 북아메리카에서만 발견되는 버섯은 옅은 주황색 색조가있는 중간 내지 큰 흰색 뚜껑과 뚜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