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산행/충청도
2020. 4. 12.
고용산-아산
2020년 4월 11일, 아산시 고용산에서 소사벌 산악회 시산제을 지내다.
산행/경기도
2020. 4. 5.
노고봉-광주 [2020_04_04]
산행/충청도
2020. 4. 1.
광덕산-아산
차량산맥이 만들어 낸 명산으로 아산시에서 가장 높은산 높이는 699m이다. 아산시 송악면과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의 경계에 있는 천안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예로부터 산이 크고 풍후(豊厚)하여 덕이 있는 산이라 하였다. 명산으로서 나라에 전란이 일어나거나 불길한 일이 있으면 산이 운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광덕산 부근에서 생산한 호두는 껍질이 얇고 알이 꽉 차서 천안시의 대표적인 명산물이다. 산에는 광덕사, 잣나무 군락지, 장군바위, 강당사 등의 볼거리가 많다. 광덕사에는 고려사경(보물 390)·광덕사 대웅전(충남문화재자료 246)·광덕사 삼층석탑(충남유형문화재 120) 등의 문화재가 있고, 이밖에도 호도나무 전래비와 조선시대 기생 김부용의 묘가 있다. 주변에는 아산 현충사와 온양 민속박물관이 있..
산행/경기도
2020. 3. 22.
마구산, 태화산-광주 [2020_03_21]
산행/경기도
2020. 3. 8.
무갑산, 관산-광주 [2020_03_07]
산행/충청도
2020. 3. 2.
좌구산
2020년 3월 1일, 충북 증평군 좌구산. 충북 증평의 좌구산座龜山(657m)은 범상치 않은 이름을 지녔다. 한자로 앉는다는 좌座자와 거북이라는 뜻의 구龜자를 썼다. 풍수지리에서 ‘거북이 앉아 있는 형국’이라 해서 붙인 이름이다. 산이 ‘장수’와 ‘귀함’을 의미하는 거북이 모양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당초에는 이 산에서 개 짖는 소리가 들린다고 해서 개 구狗자를 썼다고 한다. 세월이 지나며 산의 이름과 의미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좌구산이 바로 그런 곳이다. 해발 657m 높이의 좌구산은 한남금북정맥의 최고봉이다. 백두대간상의 속리산에서 갈라져나간 한남금북정맥은 충청북도를 동서로 가르며 북쪽으로 올라가 칠장산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진다. 60여 km에 걸쳐 뻗어 있는 이 산..
산행/충청도
2020. 2. 17.
황금산-서산 [2020_02_16]
산행/경기도
2020. 2. 10.
구봉산-용인 [2020_02_09]
산행/충청도
2020. 2. 2.
백마산-음성 [2020_02_01]
산행/충청도
2020. 1. 20.
무제봉
2020년 1월 19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두대간 속리산 천왕봉에서 북서쪽으로 가지 치는 한남금북정맥이 칠장산(492m)에 이르러 두 갈래로 나뉜다. 북서쪽 용인 방향으로는 한남정맥, 남쪽 진천 방면으로는 금북정맥이 갈라진다. 금북정맥은 칠현산(516m)~덕성산(519m)을 지나 옥정재(해발 315m)에 이르면 잠시 산릉을 가라앉히고, 약 1.7km 거리인 455m봉에서 방향을 남서쪽으로 틀어 천안 방면 서운산(547m)~성거산(579m)~태조봉(422m)으로 이어진다. 정상 방면 전망대로 오르기 직전 송림정에서 남동쪽으로 본 장군봉(왼쪽)과 옥녀봉 방면(오른쪽 소나무 뒤). 2 정상 북서릉으로 5분 거리에서 바라본 금북정맥 서운산 방면 470.8m봉(왼쪽). 송전철탑 오른쪽은 무제산 북릉과 옥정재 방면 ..
산행/전라도
2020. 1. 12.
덕유산-무주
2020년 1월 11일 덕유산-무주.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위치한 덕유산은 1975년 1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 상으로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 등 영호남을 아우르는 4개 군에 걸쳐 있으며, 총 229.43㎢의 면적이 공원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 덕유산국립공원은 동쪽의 가야산, 서쪽의 내장산, 남쪽의 지리산, 북쪽의 계룡산과 속리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덕유산은 남한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향적봉 1,614m)으로 아고산대 생태계의 보존가치 또한 높으며, 북쪽으로 흘러가는 금강과 동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수원지이기도 하다.
산행/경상도
2019. 12. 22.
금오산-구미 [2019_12_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