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KlxC/btqMM3w4ML8/HVUAKTqKWwjCccqs7M1fNk/img.jpg)
산행/충청도
2020. 11. 8.
마이산
2020년 11월 7일, 충북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 마이산. 마이산(해발472m)은 차령산맥에 있는 산으로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봉황리에 걸쳐있는 명산으로 조선시대 때에는 서울로 통하는 봉수대가 있으며 망이산성도 발견할 수 있어 일면 망이산이라고도 한다. 이 망이산성은 1980년도 단국대학교 학술 조사단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현지 주민들이 마이산으로 호칭하고 있는데 이는 망이산이 마이산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성은 마이산 중심으로 내성(봉수대가 있는곳)과 이곳 에서 북쪽으로 낮은 평원을 이룬 외곽 산봉들이 능선을 따라 약 3km 주위에 둘러 쌓은 성곽을 구경할 수 있다. 산세가 좋다거나 볼거리가 많은 산은 아니지만 도심에서 찾기 수월하고 망이산성과 봉수대터가 남아있으며, 정상 에서의..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3vvgK/btqMpLBLMFs/PM3FPkBkAEKz9o7nIDMlJ0/img.jpg)
산행/전라도
2020. 11. 2.
어청도
2020년 10월 31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 어청도. 어청도는 1914년 일제하의 행정개편으로 옥구군에 편입된 섬으로 김씨와 이씨가 주축을 이루고 그 밖에 각 성들이 고루 살고 있다. 서해의 고도인만큼 물 맑기가 거울과 같다." 하여 어청도라 불렀다. 이 섬에 망명하였던 중국의 전횡장군과 관련한 전설이 있으며, 그와 그의 부하들을 기리는 '치등묘제'가 지내지고 있다. 모심기노래, 뱃노래, 한탄요, 시집살이노래 등의 민요가 전한다. 전라북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섬으로 군산에서 약 70km 떨어져 있고, 군산항에서 배를타고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어청도항은 U자형으로 움푹 들어가 있어 태풍 때 선박들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 어청도는 물 맑기가 거울과도 같아 어청도라 불리워졌다고 한다 어청도의..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kDIEl/btqLuCeRAvp/zot78IPketUWCjLV6KT4pK/img.jpg)
산행/충청도
2020. 10. 21.
서대산
2020년 10월 20일, 충남 금산군 추부면 성당로 서대산. 충남의 최고봉으로 한국의 100대명산 중의 하나인 이 산은 큰 산이면서도 주변 산과 줄기가 이어지지 않고 섬처럼 육지에 우뚝 솟아있어 비래산(飛來山)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진서대산의 매력 포인트는 기암절벽.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산의 곳곳에서 울창한 숲을 뚫고 울퉁불퉁 기암절벽이 튀어나와 있는 이 산은 뭇사람을 유혹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능선부는 말할 것도 없이 산 전체에 걸쳐 기암절벽이 발달하여 수많은 암봉과 암벽, 기암을 품고 있는 산으로 능선부의 어느 암벽이나 기암에 오르더라도 장쾌한 풍광이 유감없이 펼쳐진다. 신선바위, 북두칠성바위, 장군바위, 탄금대, 석문 등과 함께 무명의 기암절벽이 능선을 수놓고 있..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Y48jM/btqKBO8OTUs/49HXdjKLwKwv4IjbeGpBn1/img.jpg)
산행/충청도
2020. 10. 11.
팔봉산
2020년 10월 10일, 충남 서산시 팔봉면 양길리 팔봉산. 팔봉산(八峰山 361.5m)은 산의 기준이 높이에만 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산이다. 해발 400m도 채 안 되는 높이지만, 사방이 야트막한 산과 구릉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돌올히 솟아오른 암릉을 형성하고 있어 조망이 뛰어나다. 불꽃처럼 화려하게 솟구친 암릉을 오르내리는 사이 눈에 들어오는 태안반도 일원의 풍광은 풍경화나 다름없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 제1봉. ▼ 제2봉. ▼ 코끼리바위. ▼ 용굴. ▼ 제3봉(정상). ▼ 제4봉. ▼ 제5봉. ▼ 제6봉. ▼ 제7봉. ▼ 제8봉. ▼ 사태사.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DWQVX/btqKnqmxOUJ/9Q6osu5hqeS3nxa7Cyvxz0/img.jpg)
산행/충청도
2020. 10. 7.
영인산
2020년 10월 6일, 충남 아산시 영인면 영인산. 영인산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산이다. 영인산은 예로 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고 정상에 백제 시대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산 정상에 서면 서해바다, 삽교천, 아산만방조제와 아산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구절초. ▼ 꽃무릇. ▼ 상투봉에서 본 영인산 파노라마. ▼ 닭개비. ▼ 짚신나물. ▼ 구절초. ▼ 억새. ▼ 진달래.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TzH/btqI9p3h5cf/uEfk5nQKdvgCRBMWPMMdk1/img.jpg)
산행/충청도
2020. 9. 20.
묘봉-상학봉
2020년 9월 19일,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묘봉, 상학봉. 묘봉(妙峰 : 874m)은 소백산맥 줄기인 속리산 연봉 북쪽에 접해 있는 봉우리로 충북 보은군 산외면과 내속리면, 그리고 경북 상주군 화북면의 경계에 자리 잡은 산이다. 이 산은 속리산 국립공원 남쪽지역인 구병산(877m)에서 출발하여 형제봉(832m)∼천황봉(1,058m)∼문장대(1,054m)∼관음봉(985m)∼두루봉(887m)~묘봉(874m)∼암릉(860m)~상학봉(834m)~매봉~미남봉(610m)으로 이어져 활목고개에서 끝을 맺는 충북의 알프스(43.9km)의 서북릉에 속해 있다. ▼ 인동초. ▼ 물봉선. ▼ 노란다발 또는 노란다발버섯은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의 한 종으로, 파시규롤 등의 독이 포함된 맹독성 버섯이다. 섭취 시 심하면 사..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mant/btqIxX8RiOH/99xLJ2oCxaUsQgWdkQ1Y6K/img.jpg)
산행/경기도
2020. 9. 14.
서운산
2020년 9월 13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산 에 다녀오다. 서운산은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경계에 있는 산이다. 칠장산 에서 한남정맥과 갈라져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금북정맥 마루금이 칠현산, 덕성산과 배티고개를 지나 바로 이 서운산을 거쳐서 충청남도 성거산으로 맥맥히 이어지고 있으니 평야지대인 안성 일대에서는 대표적인 산이다 ▼ 산박하. ▼ 탕흉대 파노라마 ▼ 탕흉대 ▼ 좌성사 ▼ 물봉선 ▼ 싸리꽃 ▼ ? ▼ 접시껄껄이그물버섯.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TKHn/btqH0VXRyD9/w7Hd0IhMDDtjbj5lOhUiY1/img.jpg)
산행/경기도
2020. 9. 6.
백족산
2020년 9월 5일, 이천시 장호원의 백족산. 장호원읍의 진산으로 해발 402m 정상에는 백개의 발을 가진 지네가 살았다고 전하는 지네굴이 있는데 지네 전설에서 백족(百足, 白足)이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고 한다. 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김자점의 아버지 묘터가 바로 금반형지라는 전설이 있는데, 아무리 강풍이 심하게 불어도 이곳은 바람 한 점 없이 평온하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에 산중에 석남사와 백족사가 있다는 기록을 보아 이산에 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지금은 찾을 길이 없다.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vBDi/btqHsb1Gk22/SrbA6LInwTXDLsr9UCfNbk/img.jpg)
산행/충청도
2020. 8. 30.
성거산
2020년 8월 29일, 천안 성거산에서. 성거산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삼국통일을 이룩하기 위하여 분주할 때 직산 수헐원을 지나다 동쪽의 산을 보고 신령이 살 것 같은 산이다 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고 "성거산"이라 부르게 하였다는 산으로 정상에 오르면 천안의 특산물인 성환배, 성거ㆍ입장 거봉포도의 주산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진행하면 백제 첫 도읍지였던 위례산성에 도달하게 된다. ▼ 참취 [비추천명 : 취], 학명: Aster scaber Thunb., 분류군: 국화과 (Compositae), 일어: シラヤマギク, 영문: Edible aster ▼ 산짚신나물 [비추천명 : 큰짚신나물], 학명: Agrimonia coreana Nakai, 분류군: 장미과 (Rosaceae), 일어: チョ..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esH2kE/btqG6fQb0c3/mYvxR167nc4kE4wiTBhrhk/img.jpg)
산행/경기도
2020. 8. 23.
서운산
2020년 8월 22일, 안성시 서운산 유왕골을 다녀오다. 서운산은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경계에 있는 산이다. 칠장산 에서 한남정맥과 갈라져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금북정맥 마루금이 칠현산, 덕성산과 배티고개를 지나 바로 이 서운산을 거쳐서 충청남도 성거산으로 맥맥히 이어지고 있으니 평야지대인 안성 일대에서는 대표적인 산이다 ▼ 미국나팔꽃, 학명: Ipomoea hederacea Jacq, 분류군: 메꽃과 (Convolvulaceae), 일어: マルパアサガオ, 영문: Ivy-leaved Morning-glory. ▼ 달맞이꽃 [비추천명 : 겹달맞이꽃], 학명: Oenothera biennis L., 분류군: 바늘꽃과 (Onagraceae), 일어:メマッョイグサ영문: Evening Primrose..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C8e2J/btqGDQRHJ6f/DBI9gh3OJiOOyPQQ9aaYpK/img.jpg)
산행/충청도
2020. 8. 16.
만뢰산
2020년 8월 16일, 진천 만뢰산에서.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 Amanita Virgineoides. Amanita daucipes는 버섯 주문 Agaricales의 Amanitaceae과에있는 곰팡이 종입니다. 북아메리카에서만 발견되는 버섯은 옅은 주황색 색조가있는 중간 내지 큰 흰색 뚜껑과 뚜껑..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ZiEpU/btqGC7qlU4c/NIC9ZiVdU8rQBKPuYiswqK/img.jpg)
산행/충청도
2020. 8. 13.
고용산
2020년 8월 13일, 아산시 고용산에서 고용산(295.9m)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위치한 산으로, 성내저수지와 신봉저수지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 독립된 봉우리이다. 정상부 주변에 바위가 많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라는 기록이 있고, 에는 라는 기록이 있다. ▼ 처음보는 버섯이네요. ▼ 요놈도 처움보는 버섯이네요. ▼ 처음보는 버섯입니다. ▼ 붉은비단 그물버섯. ▼무릇 ▼ 이뻐서 가저왔네요. ▼ 접시껄껄이그물버섯. ▼ 닭의장풀 ▼ 닭의장풀 ▼ 닭의장풀 ▼ 산초 ▼ 산초 ▼ 흰가시광대버섯(닭다리 버섯) Amanita Virgineoides. ▼누리장나무꽃 ▼누리장나무꽃 ▼ 백련사 ▼ 칡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