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산행/경기도
2023. 3. 20.
서운산 (유왕골)
2023년 3월 19일 토요일,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서운산은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경계에 있는 산이다. 칠장산 에서 한남정맥과 갈라져서 남쪽으로 뻗어 내린 금북정맥 마루금이 칠현산, 덕성산과 배티고개를 지나 바로 이 서운산을 거쳐서 충청남도 성거산으로 맥맥히 이어지고 있으니 평야지대인 안성 일대에서는 대표적인 산이다.
산행/충청도
2023. 3. 12.
팔봉산
2023년 3월 11일 토요일,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양길리 팔봉산. 팔봉산(361.5m)은 산의 형세가 병풍처럼 펼쳐져있고 9개 마을을 품에 안은 듯 정기있게 솟아 있으며, 산의 명칭은 여덟 개의 산봉우리가 줄지어 있는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8봉중 가장 높은 곳은 3봉으로 높이가 362m이다. 산세가 수려하며 맑은 공기와 탁 트인 산세가 절경이며 휴식 및 3시간 정도의 등산코스로 적합하다. 워낙 홍천 팔봉산이 유명해서 이 팔봉산은 앞에 "서산"임을 분명히 밝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곳은 봉이 9개인데 제일 작은 봉을 제외하고 팔봉산이라 하였고, 매년 12월 말이면 그 작은 봉우리가 자기를 넣지 않았다고 울었다는 전설이 있다. ▼ 아파치님이 찍어주심
산행/전라도
2023. 3. 5.
월령봉
2023년 3월 4일 토요일, 전라북도 군산시 신시도 월령봉. 신라 때부터 신치산으로 불린 월영봉(月影峰·198m)은 선유8경의 하나인 월영단풍으로 유명하며, 고운 최치원이 단을 쌓고 글을 읽는 소리가 중국까지 들렸다는 설화가 있다. 최근 최치원의 고향이 경주가 아닌 신시도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실제로 신시도에 후손들이 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3. 2. 27.
너도바람꽃 (White snowdrop)
2023년 2월 27일 월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산행/경기도
2023. 2. 17.
석성산
2023년 2월 16일 목요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포곡읍 마성리, 처인구 유림동. 석성산(石城山)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포곡읍 마성리, 처인구 유림동 등 3개 지역에 연결되어 있는 높이 471.5m의 산이다. 부아산, 광교산과 더불어 용인 지역의 3대 명산으로 불린다. 법화산이나 향수산 등 이곳 산들의 조산(祖山)으로 용인의 진산(鎭山)으로도 불린다. 진산은 도읍지나 각 고을에서 그곳을 진호(鎭護)하는 주산(主山)으로 정하여 제사하던 산이다. 조선 시대에는 동쪽의 금강산, 남쪽의 지리산, 서쪽의 묘향산, 북쪽의 백두산, 중심의 삼각산을 오악(五嶽)이라고 하여 주산으로 삼았다는 《동국여지승람》《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택리지》의 기록이 있다.
산행/강원도
2023. 2. 12.
함백산
2023년 2월 11일 토요일,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과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咸白山)은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573m이다. 동쪽은 매봉산(1,303m), 북쪽은 금대봉(1,418m), 북쪽은 대덕산(1,307m)으로 둘러싸여 면적 약 38만 950m2(126만 평)의 지역을 1993년 환경부가 자연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산행/전라도
2023. 1. 20.
중머리재(무등산)
2023년 1월 14일 토요일, 전라남도 광주시 ▼ 아파치님이 찍어주심
산행/강원도
2023. 1. 8.
계방산
2023년 1월 7일 토요일, 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강원도 평창군과 홍천군의 경계에 있는 해발 1,577m의 산.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대한민국(남한)에서 5번째로 높은 산이다. 오대산국립공원 구역 안에 있으며, 구역 내 봉우리들 중 최고봉이다. 소속 국립공원에 이름을 붙인 오대산에 비해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높이는 더 높은 것이 마치 함백산과 비슷하다. 사실 원래는 국립공원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2010년대 어느순간 은근슬쩍 범위가 확장되어 들어갔다. 높이는 매우 높지만, 운두령에서 시작하면 해발 1,000m 이상에서 시작하여 실제 고도차는 500m대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 그 외 노동리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도 있다. 운두령은 과거에는 버스가 있었으나 2021년 현재 대중교통이 전혀..
산행/충청도
2022. 12. 25.
금자봉
2022년 12월 24일 토요일, 충청남도 홍성군 금자봉 오서산. ▼ 아파치님이 찍어 주심
산행/충청도
2022. 12. 21.
비룡담지(제2의림지)
2022년 12월 10일 토요일, 충청북도 제천시 겨울밤 비룡담이 주는 몽환적 야경이 제천관광의 새로운 트랜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곳 비룡담을 따라 조성된 한방치유숲길은 제천시가 유럽풍의 루미나리를 설치, 걷은 재미와 함께 환상 속 빛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더욱이 눈이라는 내리는 밤은 하얀 눈과 형형색상의 조명이 어울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지친 심신과 함께 모든 상념을 잊기에 충분하다. 의림지를 지나 1㎞ 남짓을 걷다보면 솔밭공원과 맞닿은 비룡담이 나온다. 비룡담은 제2 의림지의 별칭이다. 인근 용두산에 살고 있던 용이 하늘로 오른 곳이라 해서 비룡담(飛龍潭)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비룡담은 제천지역의 농업용수 보조수원을 확보하기 위해 축조된 저수지이다. 의림지 수원만으로는 청전뜰에 대한 완전한 ..
산행/충청도
2022. 12. 4.
지등산
2022년 12월 3일 토요일,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화암리. 지등산은 천등산, 인등산과 더불어 천(天).지(地).인(人) 삼재를 이루는 삼등산 중의 지(地)를 나타내는 독특한 지명을 갖고 있는 산입니다. 삼등산 중 가장 산세가 빈약하며 또한 옆으로 해발 637m의 관모봉이 한 자락으로 이어져 있어 자못 찾기가 어려운 산입니다. 지등산의 매력은 다름아닌 장쾌한 남한강과 충주시 일대를 감상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노을진 남한강의 풍경은 한폭의 그림과 같이 아름답습니다. 지등산은 일반인들의 눈에는 그저 평범해 보일 뿐이나 옛부터 세상의 근원인 천지인(天地人)을 나란히 명명한 곳인 만큼 신비스러운 분위기가 깔려 있는 곳입니다. 이런 이유 하나만으로도 이 산을 올라 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천등..
산행/충청도
2022. 11. 28.
옥순봉
2022년 11월 26일 토요일.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구담.옥순봉(286m)은 단양팔경으로 유명한 구담봉과 옥순봉을 말한다. 구담봉은 기암절벽의 암형이 거북을 닮았고 물속의 바위에 거북무늬가 있다 하여 구담이라 하며, 옥순봉은 희고 푸른 아름다운 바위들이 힘차게 솟아 마치 대나무 싹과 같다 하여 옥순이라 불리우며 조선 명종 초 단양군수로 부임한 퇴계 선생이 암벽에 단구동문이라 각명하여 소금강이란 별칭이 있을 만큼 아름다운 곳이다. 여지승람에 의하면 연산군 때의 문신 김일손이 절경의 협곡을 극찬한 곳으로 충주댐 호반과 금수산의 아름다운 절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