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rKegU/btrvSd8HzWw/uFmKvzrvUiiarvcQ0X2JqK/img.jpg)
산행/충청도
2022. 3. 13.
칠보산(청안)
2022년 3월 12일 토요일, 충북 괴산군 청안면 칠보산. 칠보산은 괴산군의 서남쪽 청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괴산군청 소재지에서 남서부로 21㎞ 지점이며 동은 청천면, 서는 증평군, 남은 청천면과 청주시 상당구, 북은 도안면과 사리면에 접하고 있으며 한남금북정맥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남금북정맥이란 백두대간의 속리산(俗離山) 청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七長山, 492m)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였던 산줄기 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EJx3/btrviIuxpy1/lMtQVA2Fikyjn0DMqKZg1k/img.jpg)
산행/경기도
2022. 3. 6.
마감산, 보금산
2022년 3월 5일 토요일, 경기도 여주시 마감산 보금산 고향의 뒷산같이 소박한 멋을 풍기는 보금산, 높지않으면서 낙옆으로 뒤덮인 능선이 꿈길처럼 펼쳐져 있으며, 산행 후 인근의 목아불교박물관, 신륵사, 세종대왕릉, 명성황후 생가 등의 유적지를 찾아볼 수 있어 가족산행지로 적당하다. 보금산으로 가는 길은 여주에 들른 후 원주로 넘어가는 당고개에 이르면 되고, 당고개에서 북쪽 능선길로 들어서 산행을 시작하면 상큼한 솔내음이 정신을 맑게 한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만큼 빽빽한 송림지대를 통과하면 시야가 탁 트인 235m봉이고, 이때부터 산길은 평지로 이어지고 20분정도 지나면 석량고개에 이르고 고개를 지나 성주봉까지 계속해서 오르막길이며, 성주봉을 지나면 길은 다시 평탄해지고, 무성한 소나무숲을 따라 50..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N1YP/btruMpjI2UC/2Sa0y4tVVwDULhcnH7IAC1/img.jpg)
산행/강원도
2022. 3. 2.
소금산 (간현봉)
2022년 3월 1일 화요일. 강원도 원주시 간현관광지 소금산. 소금산은 섬강과 삼산천이 만나는 간현관광지에 자리해 있다. 해발 350m의 나지막한 산이지만, 북한 금강산처럼 빼어난 산세를 자랑한다 해 작은 금강산이란 이름이 붙었다. 산 옆으론 섬강이 굽이쳐 흐르고 40~50m의 절벽이 병풍처럼 펼쳐진다. 이곳의 절경에 감동한 송강 정철은 관동별곡에 “한수를 돌아드니 섬강이 어디메뇨, 치악이 여긔로다”며 간현의 아름다움을 예찬하기도 했다. 소금산 그랜드밸리는 지난 2018년 놓인 소금산 출렁다리부터 시작됐다. 소금산 바위오름터와 솔개미둥지터를 잇는 출렁다리는 높이 100m, 길이 200m로 국내 최장 산악보도교다. 출렁다리 바닥은 격자 모양의 철제로 만들어져 발아래가 훤하다. 출렁다리 옆 하늘 전망대에선..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1CEy/btrtJCKZJwr/t0VmkAAlb1OoMnI1X3AJoK/img.jpg)
산행/강원도
2022. 2. 20.
태백산
2022년 2월 19일 토요일, 강원도 태백시 번영로 59(황지동) 태백산. 태백산은 1989년 5월 13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6년 우리나라 2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전체면적은 70.052㎢이며 천제단이 있는 영봉(1,560m)을 중심으로 북쪽에 장군봉(1,567m) 동쪽에 문수봉(1,517m), 영봉과 문수봉 사이의 부쇠봉(1,546m)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최고봉은 함백산(1,572m)이다. 태백산은 수천 년간 제천의식을 지내던 천제단과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 등 풍부한 문화자원과 야생화 군락지인 금대봉~대덕산 구간, 만항재, 장군봉 주변의 주목 군락지, 세계 최남단 열목어 서식지인 백천계곡 등 다양하고 뛰어난 생태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Vbg3/btrtajqGYhJ/Ker0hz12LKuNsLevfaaVuK/img.jpg)
산행/충청도
2022. 2. 13.
보광산
2022년 2월 12일 토요일,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보광산. 보광산은 산세가 빼어나거나 경치가 좋고 바위가 있다든가 하는 그런 산은 아니다. 그저 나즈막한 육산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상의 봉학사지에 얽힌 전설 같은 현실에 인간 욕심의 무상함을 일깨워 주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접근이 용이하고 험하지 않아 가족단위로 등산할 수 있는 좋은 산이다. 산행은 모래재 고개에서 300미터 괴산 쪽으로 위치한 수암리 시동마을에서부터 시작한다. 시동마을에서 보광사까지는 차도가 닦여 있다. 시동마을 앞 승강장 옆에 있는 보광사 안내판을 따라 시동마을 출발한지 1시간 정도면 보광사에 도착한다. ▼ 봉학사지 5층석탑. ▼ 보광사 보광사는 고려 28대 충혜왕(忠惠王) 1년에 창건되고 조선 헌종(憲宗)때 폐사된 옛 봉학사(..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dWArcE/btrsqCzmUuw/ORwfDjLKPDdzIRCIxMuekK/img.jpg)
산행/충청도
2022. 2. 6.
삼보산
2022년 2월 5일 토요일, 충북 증평군 증평읍 죽리 삼보산. 증평 삼보산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죽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273m이다. 구녀산과 좌구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형태를 띄고 있다. 산의 지명은 세 가지의 보물이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첫 번째 보물은 물로써 초정리 광천수와 증평 탄산약수를 뜻하며 두번째 보물은 이 산에 매장되어 있는 금이라고 한다. 마지막 보물은 산골이라는 광물질인데 골절에 유용한 약재라고 한다.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qtqXw/btrp7RRYZhu/fDkKkXgcphqwUQZ1KtBPR1/img.jpg)
산행/경기도
2022. 1. 9.
설봉산
2022년 1월 8일 토요일, 경기도 이천시 설봉공원 설봉산. 설봉산은 이천의 진산이다. 삼국시대 격전장의 역사를 담은 설봉산성, 이천의 성현을 모신 설봉서원, 불교문화의 산실 영월암, 시민의 안식처 설봉공원 등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이천의 아이콘이다. 해발 394m의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이천시민들에게는 정체성을 심어주는 상징적 산이다. 식생밀도가 높아 녹색댐 효과가 크며, 화강암 풍화토로 지하수 정화능력이 뛰어나 약수터가 발달하였다. 설봉산 정상에서 여주 방향을 내려다보면 낮은 저 산성 평지가 끝없이 펼쳐지는데 이 지형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발달한 저위평탄면 지형이다. 설봉산은 역사적으로 백제·고구려·신라가 격전을 벌였던 기록을 담고 있다. 설봉산성은 세 곳으로 칼바위 주변을 두른 성이 주성이..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RXbN/btroTmyZTr9/yKIoNJJ30EpKCsKImeiZLK/img.jpg)
산행/경기도
2021. 12. 26.
광교산 백운산
2021년 12월 25일 토요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와 용인시 수지구 에 걸처있는 광교산. 광교산(光敎山)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와 용인시 수지구에 걸쳐있는 높이 582m의 산으로 백운산(564m), 바라산(428m), 우담산(425m), 청계산(618m)으로 이어주면서 수원과 용인을 아우르는 산이다. 광교산은 수원천의 발원지이자 용인 탄천의 발원지 중에 한 곳이기도 하다. 수원에서는 북쪽, 용인에서는 서북쪽에 위치하면서 북쪽에서 불어오는 겨울의 찬 바람을 막아주고 있다. 풍수지리에서 바람을 가두고 물을 얻게 한다는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광교산은 시가지를 안고 있는 수원의 주산으로 원래 이름은 광악산이었으나 고려 태조 왕건이 광교산으로 명명했다고 전해진다. 높이..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Udg2r/btrow1PzPQK/jx7h2pHi6SHl7BjVsNTDO0/img.jpg)
산행/충청도
2021. 12. 22.
흑성산
2021년 12월 21일 화요일,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흑성산. 흑성산(해발 519m)은 동쪽으로 산방천을 넘어서 은율산이 솟아있고 북쪽으로는 천안시의 진산인 태조봉을 거쳐 성거산이 바라다 보이며 서쪽에는 마점산 너머로 천안시가 내려다보인다. 그리고 남쪽으로는 승천천을 건너서 취암산과 고려산으로 연결된다. 흑성산 정상에는 석축둘레 2,290척, 높이 6척의 성터가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만 남아있고 성내에는 지지가 있다. 흑성산의 본래이름은 검은산인데 이 산을 중심으로 김시민, 이동령, 이범석, 유관순, 조병옥 등 많은 구국열사가 배출되었으며 일제때 '검다'는 뜻을 그대로 옮겨서 '흑성산'으로 바꾼것이다. 풍수지리상 이곳은 서울의 외청룡에 해당되고 금계포란형 즉 금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의 명당 길..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WiBvP/btrocAZf2k3/stlFFTad6ZOEGgUI4pT5yk/img.jpg)
산행/경기도
2021. 12. 19.
국사봉
2021년 12월 18일 토요일,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국사봉. 국사봉(國師峰)은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에 있는 산이다. 삼죽은 서일, 서이, 서삼 등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서삼이 안성시 보개면으로 편입되면서, 국사봉의 현재 위치가 보개면 남풍리로 나온다. 높이는 해발 444m이다. 삼죽초등학교 교가에도 나온다. ▼ 국사암 안성 국사암 석조여래삼존불입상은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기솔리, 국사암에 있는 석불이다. 2002년 2월 19일 안성시의 향토유적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석불은 본존과 양협시보살을 배치한 삼존불로, 발목 이하는 땅에 매몰되어 있다. 지상에 노출된 본존의 높이는 320cm이고, 3단의 원형보개를 육계부분에 끼워 놓았다. 얼굴은 타원형으로 두 귀가 어깨까지 늘어져 있으며 수인은 오른..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d3HxgU/btrmXVjsWiW/SJ7esetZM8Lm7yac7tHHTk/img.jpg)
산행/충청도
2021. 12. 5.
태조산
2021년 12월 4일 토요일, 충남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의 경계에 있는 태조산. 고려 태조가 이 산의 서쪽에 주둔함으로써 칭명케 되었다고 전해오는 태조산은 유량천, 산방천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고 정상에 오르면 천안의 발전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산으로 최근 건강을 위한 그룹단위의 산행인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고 특히 산이 완만하여 여성 산행인들이 즐겨 찾는 곳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P6nW/btrmkq4Fqn1/n3YT46c7uP3j70tNK1inr1/img.jpg)
산행/경기도
2021. 11. 28.
불곡산
2021년 11월 27일 토요일,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 불곡산(佛谷山)은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높이 470m의 산이다. 불국산으로도 불렸다. 대동여지도는 ‘양주의 진산’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산 중턱에는 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백화암이 있다. 양주 목사가 4백여 년간 행정을 펴던 동헌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2호인 어사대비, 양주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전수회관, 양주 목사가 휴식을 취하던 금화정, 경기도 기념물 제143호인 양주산성 등의 문화재가 있다. 조선시대 통틀어 홍길동, 장길산과 더불어 3대 도둑으로 꼽히는 임꺽정의 사연이 있는 산이기도 하다. ▼ 아파치님이 찍어주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