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그리고 풍경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9. 25.
투구꽃 (Monk’shood)
2022년 9월 24일 토요일, 마대산 베틀재.
여행 그리고 풍경/국내여행
2022. 7. 6.
합덕제수변공원
2022년 7월 5일 화요일,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 348-3 합덕 평야에 농업용수를 조달하던 저수지로, 연꽃이 만발해 연지(蓮池)라고도 불리웠다. 지금은 저수지가 논으로 변하여, 제방만이 남아 있다. 제방은 평지로부터 높이 7∼8m, 전체길이 1,771m에 이르는 큰 방죽으로, 흙을 쌓아 만들었으나 후에 돌을 이용하여 보수한 부분도 보인다. 제방의 서쪽 끝에는 보수할 때의 기록을 적어둔 중수비가 5기 남아있다. 제방이 만들어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후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 축조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김제 벽골제의 제방이 일직선인데 비해, 이곳의 제방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특이하다.
여행 그리고 풍경/국내여행
2022. 7. 6.
당진합덕제
2022년 7월 5일 화요일,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 348-3 합덕 평야에 농업용수를 조달하던 저수지로, 연꽃이 만발해 연지(蓮池)라고도 불리웠다. 지금은 저수지가 논으로 변하여, 제방만이 남아 있다. 제방은 평지로부터 높이 7∼8m, 전체길이 1,771m에 이르는 큰 방죽으로, 흙을 쌓아 만들었으나 후에 돌을 이용하여 보수한 부분도 보인다. 제방의 서쪽 끝에는 보수할 때의 기록을 적어둔 중수비가 5기 남아있다. 제방이 만들어진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후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 축조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김제 벽골제의 제방이 일직선인데 비해, 이곳의 제방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특이하다.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4. 8.
현호색 (Common corydalis)
2022년 4월 7일 목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4. 8.
꿩의바람꽃 (Many-sepal anemone)
2022년 4월 7일 목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4. 4.
애기괭이눈 (Stolon golden saxifrage)
2022년 3월 30일 수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4. 3.
홍매화 (red plum)
2022년 3월 30일 수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4. 3.
흰털괭이눈 (Gray’s golden saxifrage)
2022년 3월 30일 수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3. 17.
노루귀 (Seaside liverleaf)
2022년 3월 16일 수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2. 3. 17.
너도바람꽃 (White snowdrop)
2022년 3월 16일 토요일,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유왕골.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1. 8. 10.
붉은인동 (Honey suckle)
2021년 8월 7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 만뢰산.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1. 8. 8.
짚신나물 (Hairy agrimony)
2021년 8월 7일 토요일,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 만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