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P6nW/btrmkq4Fqn1/n3YT46c7uP3j70tNK1inr1/img.jpg)
산행/경기도
2021. 11. 28.
불곡산
2021년 11월 27일 토요일,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 불곡산(佛谷山)은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높이 470m의 산이다. 불국산으로도 불렸다. 대동여지도는 ‘양주의 진산’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산 중턱에는 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백화암이 있다. 양주 목사가 4백여 년간 행정을 펴던 동헌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2호인 어사대비, 양주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전수회관, 양주 목사가 휴식을 취하던 금화정, 경기도 기념물 제143호인 양주산성 등의 문화재가 있다. 조선시대 통틀어 홍길동, 장길산과 더불어 3대 도둑으로 꼽히는 임꺽정의 사연이 있는 산이기도 하다. ▼ 아파치님이 찍어주심.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nArM1/btrlJMGUHem/rXhcWmB62JeXnnOQh8EGKk/img.jpg)
산행/충청도
2021. 11. 21.
옥녀봉 아가봉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 충북 괴산군 칠성면 옥녀봉, 아가봉. 칠성면 소재지에서 보면 옥녀봉은 군자산과 비학산 너머에 있다. 높이로 봐도 그리 관심을 끌만한 것이 없어 보이고, 접근방법으로 보면 더구나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처럼 보인다. 칠성에서 갈론까지 약 5km나 되는 비포장도로를 가야하고, 청천의 사기막에서 오를 경우도 4-5km는 비포장을 가야하는 오지의 산이며, 그런 이유로 사람들이 뜸한 전인미답의 산으로 치부된다. 정말 산을 즐기는 사람들은 남들이 거부하는 그런 이유 때문에 오히려 즐거이 이 산을 찾는다. 산행은 칠성면 소재지에서 국내 최초의 우리 기술로 건설된 괴산 수력발전소가 있는 외사마을을 지나 댐 왼편으로 나있는 비포장 길을 승용차로도 20분정도 가야 한다. 갈론마을로 들..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bKDP/btrkJ8qWuKn/Tyr0g97rUXVVpwF0kGEJdk/img.jpg)
산행/충청도
2021. 11. 14.
위례산
2021년 11월 13일 토요일, 위례산(慰禮山)은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523m의 높이의 산이다. 천안과 안성의 경계지점인 직산에 위치하며 직산 위례성·검은산·신산(神山)이라고 부른다. 백두대간에서 나뉜 금북정맥(錦北正脈)의 성거산에서 서쪽으로 달려가는 산줄기가 노태산이고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는 산줄기가 경기도 안성의 서운산(538m)이다. 남쪽으로 계속 내려가면 태조산(421m)으로 이어진다. 부소산은 천안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한 해발 459m의 산으로 주변의 연속적인 산지와 이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엽돈재가 있으며, 북동 방향으로 서운산[547m]과 능선이 연결되고, 남서쪽으로 부수문이 고개를 지나 위례산[523m], 성거산[579m], 태조산[420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부소..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nQUNx/btrj4m5mN0z/7JKCocjHxqkVKIZkrFEz51/img.jpg)
산행/강원도
2021. 11. 7.
베틀바위산성길
2021년 11월 6일 토요일, 강원도 동해시 삼화로 538 두타산. 무릉도원 명승지 내에는 능선과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지쪽은 학소대, 음지쪽은 베틀 바위가 자리하고 있다. 두타산 해발 550m에 위치한 베틀바위는 높은 산에 가리어 음산한 음지에 기암절벽형이 마치 베틀 같아 보여 베틀바위라 불린다. 베틀바위와 관련된 전설에 의하면, 하늘나라 질서를 위반한 선녀가 벌을 받아 하강하여 이곳 무릉도원 명승지 소금강 골에서 삼베 세필을 짜고 개과한 후 승천했다 전해진다. 베틀바위로 가는 등산코스로는 무릉도원 명승지 입구에서 무릉반석을 지나 삼화사, 두타산 성을 본 후 두타산을 통해 하산하는 14.9㎞의 코스가 있으며 4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베틀바위 산성길 이외에도 동해의 명산인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nibVg/btrjr1Gpf3k/1waLs1AM1TAY1vXTg9TXlk/img.jpg)
산행/경상도
2021. 10. 31.
작약산
2021년 10월 30일 토요일,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과 은척면, 문경시 가은면 작약산. 작약산은 상주시 이안면과 은척면, 문경시 가은면의 경계를 이룬 해발 770미터의 산이다. 몇 년 전 어룡산을 타면서 남쪽으로 바라본 작약산의 산세는 너무나 아름다웠다. 그래서 언젠가 반드시 오르리라 맹세하였는데 사람과 산의 독자들을 위하여 두 번에 걸쳐 작약산을 오르내렸다. 작약산을 오르는 산길은 여러 코스가 있으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편리함과, 산악회 단체산행시 버스의 주차가 편리하며 원점회귀가 가능한 이점을 활용한 이안면 구미리의 코스가 제격이라고 생각되어 추위와 폭설을 마다않고 거듭 산을 찾았다. 버스종점에 내려서면 북쪽으로 작약산이 아름다운 산병풍의 자태를 자랑한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 노인회관을 지나면 왼..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1ZtYX/btriBcKhNZe/ELCtI6aPcJhM1ZeFnkdFLK/img.jpg)
산행/충청도
2021. 10. 24.
영인산
2021년 10월 23일 토요일,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영인산. 영인산은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있는 산이다. 영인산은 예로 부터 산이 영험하다 하여 영인산이라 부르고 있고 정상에 백제 시대의 석성으로 추정되는 영인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산 정상에 서면 서해바다, 삽교천, 아산만방조제와 아산시가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나무수국 '그란디플로라' ▼ 산부추 (Thunberg Onion)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 쑥부쟁이 ▼ 등골나물 (Fragrant eupatorium) ▼?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 ? ▼ 구절초 (White-lobe Korean dendranthema)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OvFra/btrhZl0MuGw/amMkPTm647Q84dcC759rE0/img.jpg)
산행/충청도
2021. 10. 17.
오서산
2021년 10월 16일 토요일, 충남 보령시 청소면과 청라면, 청양군 화성면, 홍성군 광천읍과 장곡면 경계에 있는 오서산. 오서산(烏棲山-790m)은 충남 서해안에 인접한 산 중 제일 높은 산이다. 그래서인지 예부터 이 산을 두고 뱃사람들은 항로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위치 정보로 활용하여왔다. 내포지역 지형의 특성상 주변은 낮은 언덕과 평지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해발고도 800m가 채 되지 않는 산임에도 바다에서 뚜렷하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해를 오가는 뱃사람들의 등대 역할을 하고 있는 이 산은 억새풀로 유명하다. 정상 능선부에 펼쳐진 약 1.3km 구간의 억새밭은 가을로 접어들면서 그 자체로 장관을 이루어 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 산이기도 하다. 그리고 평원을 이루지 ..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DJJB/btrhh81YhEm/KSH02bMfafVYSnpp4Oixo0/img.jpg)
산행/충청도
2021. 10. 10.
주론산
2021년 10월 9일 토요일, 충북 제천시 백운면과 봉양읍의 경계에 위치한 주론산. 주론산은 제천시 백운면과 봉양읍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치악산 남단에 자리한 남대봉에서 서남쪽 백운산으로 이어져 내리던 능선이 백운산 정상을 2㎞ 남겨 둔 981봉에 이르면 남쪽으로 새 가지를 쳐 구학산을 솟구친 후 남쪽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능선을 4㎞ 더 내려와 주론산을 빚어 놓았다. 주론산의 들목인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한국 천주교회사의 유서깊은 배론성지가 있다. 산행기점은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 배론성지와 백운면 평동리의 박달재자연휴양림이다. ▼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lwIdI/btrgFTkamnM/xlPTUnBfyFWce1O7Bh6T60/img.jpg)
산행/충청도
2021. 10. 3.
인등산
2021년 10월 02일 토요일, 인등산(人燈山)은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와 동량면 조동리에 걸친 산이다. 인근에는 천등산과 지등산이라는 산이 있다. 이 세 산의 흐름이 태극 무늬와 같다 해서, 천지인 사상에 입각해 붙여진 이름이다. 세 산을 한데 묶어 삼등산이라 부른다. ▼ 소나무잔나비버섯 ▼ 노루궁뎅이 ▼ 아파치님이 찍어주심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EFFB/btrfRoNwNlf/ivjHtmKiljt0c1JaIwjBz1/img.jpg)
산행/충청도
2021. 9. 26.
설화산
2021년 9월 25일 토요일,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과 송악면 설화산. 설화산(雪華山)은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과 송악면, 배방읍에 걸쳐 있는 해발 447.5m인 산이다. 이른 가을부터 늦은 봄까지 눈이 덮여 장관을 이룬다고 해서 설화산이라고 한다. 붓끝 같은 봉우리가 솟아 있어 문필봉이라고도 하며 이 산 모양이 뾰족하기가 마치 촛불같고 그 봉우리가 다섯봉으로 오봉산이라고도 한다. 서쪽 산기슭에는 외암마을, 동쪽 산기슭에는 맹씨행단을 품고 있다. 등산로는 좌부동 오봉암에서 올라 가는 길과 외암리 소류지를 따라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다. ▼ 개미취 (Tartarian Aster) ▼ ? ▼ 다알리아 ▼ 배초향 (Korean mint) ▼ 붉은인동 (Honey suckle) ▼ 송암사 ▼ 물봉선 (Field..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0NXLr/btrePVDKYRl/Z3mOwiN11Dp4QFPdRLBRak/img.jpg)
산행/강원도
2021. 9. 12.
단풍산
2021년 9월 11일 토요일,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태백산로 1833 단풍산. 단풍산(1,150m)은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태백산로 1833, 함백산이 서쪽으로 뻗은 능선상의 백운산에서 서남쪽으로 가지를 쳐 매봉산을 일으키고 계속 서쪽으로 이어져 직동천과 옥동천에 막혀 더 나아가지 못하고 지맥을 다한 곳에 솟은 산이다. 남쪽은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조망이 매우 뛰어나고 아름다운 풍광을 간직한 산이다. 산행의 시작은 솔고개 마을의 청솔식당. 청솔식당 뒤편 마을로 올라가는 콘크리트로 포장된 농로를 따라 300여미터 올라가면 기와로 지붕을 올린 단층농가가 있고 농가 뒤편 주목을 심어 놓은 밭이 있다. 밭가를 가로 질러가면 잘록이 안부에 도착한다. 안부에서 북으로 바라보면 철탑 두 개가 아래위로 서 있는 능..
![](http://i1.daumcdn.net/thumb/R300x0/?fname=https://blog.kakaocdn.net/dn/kEQzo/btrd5Dj4o3w/7PVgA9i02oK3mR3sHt8w2k/img.jpg)
산행/충청도
2021. 9. 6.
만뢰산
2021년 9월 5일 일요일, 충북 진천읍 연곡리 만뢰산.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 보탑사 진천읍 상계리 연곡리는 삼국시대 신라와 고구려의 국경지대로 상계리 계양마을의 담안밭에 흥무대왕 김유신의 탄생지가 있으며 만뢰산에는 태령산성 , 만뢰산성이 있고 고려시대 큰 절터로만 전해오던 연곡리 비립동에 고려초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