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산행/경기도
2024. 8. 11.
어비산둘레길
2024년 8월 10일 토요일,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가일리와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가일리와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에 걸쳐 있는 산. 어비산(漁飛山)은 어비계곡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어비계곡(漁飛溪谷)은 1978~1980년 사이에 산악회원들이 계곡에서 물고기가 뛰어올라가는 모습을 보고 ‘어비계곡’이라는 이름을 붙여 신문에 기고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또는 예부터 홍수 때 물고기가 산을 뛰어넘는다고 하여 ‘어비산’이라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한편, 옛날에 신선이 한강에서 낚시로 물고기를 잡아 설악면으로 가기 위해 고개를 넘다가 잠시 쉬고 있었는데, 망태 속에 담겨 있던 고기가 갑자기 뛰어오르면서 유명산 뒤쪽 산에 날아가 떨어졌다고 하여 ‘어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

산행/충청도
2024. 8. 6.
수주팔봉
2024년 8월 3일 토요일,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충주 달천은 ‘달고 청정한’ 사연을 지녔다. 속리산에서 발원한 물은 괴산에서 청천, 괴강으로 불리다가 충주 남쪽을 가르며 달래강, 달천으로 이름을 바꾼다. 달천은 수달이 살아 ‘달강(獺江)’, 물맛이 달아 ‘감천(甘川)’이라고도 했다. 살미면과 대소원면 사이, 물 맑은 달천에 솟은 수려한 봉우리가 수주팔봉이다. 두룽산에서 뻗은 수주팔봉 줄기는 칼바위까지 그늘을 드리우며 이어진다. 멀리서 보면 송곳바위, 중바위, 칼바위 등 깎아지른 봉우리가 물 위에 솟은 모양새다. 봉우리는 수주팔봉이 유래한 수주마을과 팔봉마을을 병풍처럼 에워싼다. 갈라진 암벽 사이로 쏟아지는 칼바위폭포가 수주팔봉의 대표 경관이 됐고, 팔봉마을 앞 자갈밭은 ‘차박’ 캠핑 명소로 소문났..

산행/충청도
2024. 7. 14.
도락산
2024년 7월 13일 토요일,충청북도 단양군도락산(道樂山)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높이는 964m의 산이다. 소백산과 월악산의 중간쯤에 형성된 바위산으로 현재 일부가 월악산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산의 이름은 우암 송시열이 깨달음을 얻는데는 나름대로 길이 있어야하고 거기에는 필수적으로 즐거움이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지었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산을 끼고 북으로는 사인암이, 서로는 상선암. 중선암.하선암 등 이른바 단양 8경의 4경이 인접해있으므로 주변 경관이 더욱 아름답다.▼ 여기서 정상을 포기하고 우측으로 하산한다.

산행/강원도
2024. 7. 7.
응봉산
2024년 7월 6일 토요일,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와 하동읍 진별리 경계를 이루는 응봉산(鷹峰山·1,013m)은 백두대간 상의 함백산(1,573m)을 모산으로 하는 산이다. 함백산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치는 능선이 백운산(1,426m)과 두리봉(1,466m)을 지나 질운산(1,172m)과 예미산(989m)으로 이어진 다음, 잠시 수라리재(530m)로 가라앉았다가 다시 솟아오르며 망경대산(1,088m)을 들어올린다. 망경대산을 들어올린 이 산릉이 약 6km 더 나아가 펑퍼짐한 봉우리를 빚어놓은 산이 바로 응봉산이다. 응봉산에서 계속 서진하는 산릉은 약 5km 거리에서 계족산(890m)을 들어올린 다음, 마지막 여맥을 남한강에 가라앉힌다. ▼연하폭포.연하폭포(蓮下瀑布)는 ..

산행/충청도
2024. 6. 13.
비로봉
2024년 6월 12일 수요일,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인동덩굴 (Golden-and-silver honeysuckle).▼도솔암.▼청미래덩굴 ( East Asian greenbrier).▼비로봉 정상: 아무리 찿아보아도 정상석 이나 정상 표지는 보이지 않는다.▼길이 안보여 막산을 타고내려간다.▼태조암.▼탱자나무 ( Trifoliate Orange, Hardy Orange ).▼무량사.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서 여러 차례의 중건, 중수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다만, 신라 말기의 고승 무염(無染)이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金時習)이 이 절에서 ..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4. 6. 9.
기린초 (Orange stonecrop)
2024년 6월 8일 토요일, 학명: Phedimus aizoon (L.) 't Hart var. floribundus H.Ohba.

산행/경상도
2024. 6. 9.
주왕산
2024년 6월 8일 토요일경상북도 청송군, 영덕군.경상북도 청송군, 영덕군에 있는 산. 높이는 해발 721m.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백악기의 주왕산 일대는 거대한 호수였다고 한다. 이후 호수 바닥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육화되었는데 약 7천만년전 이 퇴적암층을 뚫고 엄청난 규모의 화산 분화가 있으면서 뜨거운 화산재가 대량으로 쌓이고 이 화산재 주변에 용암이 응집하면서 거대한 암벽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화산폭발은 최소 9차례 이상 있었다고 하며 이후 침식과 풍화를 거쳐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주왕산에 폭포가 많은 이유는 주왕산의 하천 기반을 이루는 암석이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이 매우 강한 안산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대로 침식이 되지 않아 주행이 복잡해지고 협곡은 깊어지면서 결국 폭포..

산행/경기도
2024. 6. 2.
고성산
2024년 6월 1일 토요일,경기도 안성시.고성산은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산이며 일부 산줄기가 평택시까지 닿는다. 높이는 해발 278m이다.평택, 안성 지역 산악인이 많이 찾는 산악이며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현장체험학습장소로 이용된다. ▼아파치님이 찍어주심.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4. 5. 26.
개양귀비 (Flanders poppy)
2024년 5월 25일 토요일.학명: Papaver rhoeas L.

여행 그리고 풍경/Wild flower
2024. 5. 26.
으아리(Manchurian clematis)
2024년 5월 25일 토요일.학명: Clematis mandshurica Rupr.

산행/충청도
2024. 5. 25.
농다리 (미르숲길)
2024년 5월 25일 토요일,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산동리.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에 위치한 옛 돌다리이다. 천년이 넘은 다리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이다. 생김새가 특이하다. 오늘날에도 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농다리를 통해 미호강을 건널 수 있다.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과거에는 농교(籠橋)라고 불렀으나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 개양귀비▼ 으아리.▼ 고들빼기 (Sonchus-Leaf crepidiastrum).▼ 하늘다리.▼ 미르309 출렁다리.▼ 농다리

여행 그리고 풍경/국내여행
2024. 5. 23.
서울대공원
2024년 5월 21일 화요일경기도 과천시 막계동.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립 공원.서울이 아닌 과천에 있는데도 이름은 서울대공원이다. 그 이유는 1984년, 서울시에서 관할 및 운영을 하던 창경원이 과천으로 이전하게 됐는데, 위치만 바뀌었을 뿐 운영권은 그대로 서울시가 가져갔기 때문이다. 서울시의 월경지 성격을 띠었다고 볼 수도 있다. 다행히 서울역에서 과천까지 거리는 그리 멀지 않아서, 지하철을 타고 1시간 안팎이면 서울대공원까지 갈 수 있다.그리고 이름이 서울대공원이라서 산책하고 휴식을 취하는 일반적인 근린공원이라 생각 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테마파크 및 동물원의 성격에 더 가깝다. 민자운영인 서울랜드와 합치면 완벽한 테마파크다.1909년, 일제에 의해 조성된 창경원이 시초이다.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