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뢰산
2021년 9월 5일 일요일,
충북 진천읍 연곡리 만뢰산.
진천 만뢰산 : 충북 진천군 백곡면 대문리와 진천읍 연곡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11m이다. 만노산, 금노산, 금물노산으로도 불리는데, 신라시대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이 만노군의 태수로서 북쪽으로는 고구려군과 또 서쪽으로는 백제군과 선전분투하면서 군민에게 선정을 배풀었기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하여 만뢰산이라 불린다는 전설이 있다. 근처에는 야생화가 많은 진천 보탑사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김유신탄생지가 자리하고 있다.
▼ 보탑사
진천읍 상계리 연곡리는 삼국시대 신라와 고구려의 국경지대로 상계리 계양마을의 담안밭에 흥무대왕 김유신의 탄생지가 있으며 만뢰산에는 태령산성 , 만뢰산성이 있고 고려시대 큰 절터로만 전해오던 연곡리 비립동에 고려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404호인 백비가 논 가운데 있던 것을 정화하여 비각을 세워 보탑사 경내에 보존하고 있으며 연곡사지와 관련된 3층석탑이 있다.
1991년도 고건축 문화재 팀이 이곳을 답사하고 신영훈 문화재 전문위원의감독아래 1992년 5월에 보탑사를 착공하여 건축하였으며 1층에는 심주를 중심으로 사방불을 모시고 2층에는 경전을 모시고 3층에는 미륵3존불을 모셨다.
보탑사라 이름한 뜻은 법화경 견보탑품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문을 다보여래께서 증명하고 찬탄하기 위해 칠보탑이 솟아오르는 것을 보여주신다. 그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보배탑을 세움으로서 모든 사람의 가슴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심어주는 자비심이 가득차고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보탑사라 하였다. 부지규모는 약 13,223㎡(4천여평)이고 연면적은 562㎡(170평)이고, 탑의 높이는 54m이고 주지는 지광 우위근이다.
▼ 옥잠화 (Fragrant Plantain Lily)
▼ 천사의나팔꽃 (Angel's trumpet)
▼ 갯쑥부쟁이 (Bristle-hair aster)
▼ 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 금마타리 (Sanicula-leaf golden lace)
▼ 신감채 (Deeply-serrate-leaf ostericum)
▼ 미국자리공 (Poke, Virginian Poke, Scoke, Pocan, Garget, Pigeo)
▼ ?
▼ 독청버섯과, 개암버섯속의 노란다발이란 버섯입니다, 우리나라의 독버섯 사망사고의 80% 주범입니다.
▼ 흰달걀버섯
광대버섯과에 속하는 버섯. 달걀버섯, 노란달걀버섯과 비슷하지만, 흰색이다. 다만 이 버섯은 맹독버섯인 흰알광대버섯과 죽음의 천사라는 별명이 붙여진 독우산광대버섯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으므로 먹지 말자. 흰주름버섯도 이에 해당되므로 백색의 야생 버섯은 절대 먹지 말자.
▼ 산딸나무열매 (Korean dogwood)
▼ 만뢰산 정상
▼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
▼ ?
▼ 미국자리공 (Poke, Virginian Poke, Scoke, Pocan, Garget, Pigeo)
▼ 미국자리공 (Poke, Virginian Poke, Scoke, Pocan, Garget, Pigeo)